2025년부터 새 학년을 맞이하는 고등학교 1학년부터는 내신 평가 방식이 기존의 9등급제에서 5등급 제로 바뀝니다. 이 제도는 학생 간 경쟁을 완화하고, 다양한 재능과 적성을 인정하겠다는 취지에서 도입되었습니다.
1. 고등학교 내신 5등급제 기준과 고교학점제
2025년에 새롭게 도입되는 5등급제는 아래와 같은 비율로 구분될 것으로 보입니다. 1등급은 상위 10%, 2등급은 상위 24%로 누적 34%, 3등급은 상위 32%로 누적 66%, 4등급은 하위 24%로 누적 90%, 5등급은 하위 10%로 구성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2026년에는 고교학점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며,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맞는 다양한 과목을 선택하여 이수하게 될 것입니다. 이는 국어 과목은 화법과 작문, 문학, 독서로 이뤄지고, 수학은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로, 영어는 영어 회화와 영어 독해와 작문, 사회는 여행지리, 역사로 탐구하는 현대 세계, 사회문제 탐구, 금융과 경제생활, 윤리문제 탐구로 이뤄집니다. 또한 과학 과목은 기후변화와 지속 가능한 세계, 과학의 역사, 생명과학, 물리학 등, 예술 및 체육 과목에서는 음악 감상과 비평과 스포츠 과학으로 보입니다. 이 외에도 학교와 지역에 따라 과목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 고교학점제는 학생들이 자신의 흥미와 진로에 맞는 과목을 선택하여 학습하도록 장려합니다.
2. 5등급제 도입의 장점
고등학교 내신 5등급제의 장점으로는 경쟁 완화 및 협력 학습 활성화가 되는 것입니다. 기존의 9등급제는 소수점 하나로 등급이 나뉘면서 과도한 경쟁을 유발했습니다. 이에 반해 5등급제는 등급 간 간격이 넓어져 학생들 간 성적 격차가 줄어들고 경쟁이 완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를 통해 협력 학습이 활성화되고, 학생들이 좀 더 여유롭게 학교생활을 즐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두 번째 장점은 과잉 사교육 방지입니다. 5등급 제로 내신의 세부 변별력이 줄어들면서, 내신을 위한 과잉 사교육의 필요성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은 학교 수업에 집중하면서 본인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학습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가능성이 큽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재능이 인정될 것이며, 기존의 내신 평가는 주로 학업 성취도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지만 5등급제는 학생들의 다양한 능력과 잠재력을 더 폭넓게 인정하려는 취지를 담고 있습니다. 이는 학생 개개인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평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 5등급제 도입의 단점
고등학교 내신 5등급제의 단점으로는 변별력이 감소합니다. 이는 등급 수가 줄어들면서 상위권 학생들 간의 성적 차이를 구별하기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특히 대학 입시에서 내신의 변별력이 낮아지면서, 다른 평가 요소(수능, 면접 등)의 중요성이 커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두 번째 단점으로는 과목 쏠림 현상이 생겨날 것입니다. 내신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등급을 받을 가능성이 높은 과목으로 학생들이 몰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정 과목의 경쟁을 심화시키고, 학생들의 균형 잡힌 학습을 하는 데에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교사 평가 부담이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5등급제에서는 학생들의 다양한 능력을 평가해야 하기 때문에, 교사의 평가 부담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또한, 평가 기준의 주관성이 높아질 경우 공정성 논란이 제기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4. 변화될 예상 스토리
일부 대학들은 학생부 교과전형에서 정량 평가 외에 정성 평가를 일부 반영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즉, 서류 정성평가에 적합한 요소로는 공통과목과 일반선택과목의 정량적 요소와 세부특기 사항을 뽑을 수 있습니다. 넓게 보면 정성평가는 학업역량, 전공적합성, 인성 등을 잘 조합한 전형이 탄생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현재도 일부 대학들이 정량 평가의 한계를 보완하고 있습니다. 기존에 많은 대학이 교과전형을 교과 100%로 운영하는 이유는 평가 역량 및 인력 부족의 현실적 어려움이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5등급제를 도입하면 학생부 종합전형을 실시하는 대학을 중심으로 교과전형에 정성 평가를 점차 도입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5. 앞으로의 방향
이번 내신에서의 등급제 개편은 학생들의 학업 스트레스를 줄이고, 개인의 다양성을 인정하려는 긍정적인 취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단점으로 지적되는 변별력 감소와 평가 공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완책이 필요합니다. 학생들은 이러한 변화 속에서 자신의 학습 목표를 분명히 하고, 수능과 같은 정량적 평가에도 대비해야 할 것입니다. 학부모와 교사 역시 학생 개개인의 적성을 파악하고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고민해야 할 때입니다. 지금 당장은 성적이 크게 차차이가 안나 좋아 보일 진 몰라도 시간이 지나면 불편한 점이 생기기 나름입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중소기업 정책자금 신청 방법 2가지 (2) | 2025.01.07 |
---|---|
2025년 새해 달라지는 세금제도 6가지 (3) | 2025.01.06 |
2025년 새롭게 바뀌는 청년 정책 3가지 (3) | 2025.01.04 |
2025년 스마트팜 지원사업, 청년농부 신청방법 2가지 (3) | 2025.01.03 |
희망저축계좌, 2025년부터 720만 원으로 2배 증가 (1) | 2025.01.02 |